부마민주항쟁 41주년을 기념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합니다.
○ 주 제 : 부마민주항쟁 이후 지역 민주화운동과 민주정치의 과제
○ 내 용 : 부마민주항쟁 이후 민주화운동의 흐름과 부산·경남시민의 정치적 선택이 지역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여 민주정치의 미래 과제를 종합적으로 고찰
○ 일시 및 장소
- 1일차 : 10. 29.(목) 부산대학교 대학본부동 대회의실 10:30~18:45
- 2일차 : 10. 30.(금) 창원시청 시민홀 14:00~17:00
○ 대 상 : 연구자 및 대학원생, 시민 100명
○ 주최/주관 : 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·부산대학교/부마민주항쟁기념재단
○ 후 원 : 창원시청
○ 사전등록 https://docs.google.com/forms/d/13t8XMHeZnFQB-IKfmERlB8VuzkrtkEgSQ67ctxVHbCA/edit
○ 주요일정
- 1일차
◾개회식 및 기조강연
제1세션 : 부마민주항쟁과 5·18민주화운동의 차이점과 연속성
제2세션 : 부마민주항쟁 이후 부산민주화운동의 흐름과 정치적 선택
- 2일차
제3세션 : 부마민주항쟁 이후 경남민주화운동의 흐름과 정치적 선택
○ 세부일정
| 구분 | 시 간 | | 행사내용 | 진행 |
10.29. (목) /부산 대학교 대학본부동 대회의실 | 등록 | 10:00~10:30 | 30´ | 등 록 | |
개회 | 10:30~10:50 | 20´ | 개회식 : 개회사, 1일 차 축사 | |
기조 강연 및 주제 발표 | 10:50~11:30 | 40´ | (기조강연 1) 부마지역의 민주화운동과 정치적 선택 –1987년 민주화 전후를 중심으로- | 정해구 (전 성공회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) |
11:30~13:00 | 90´ | (점심식사) | |
[제1세션] 부마민주항쟁과 5·18민주화운동의 차이점과 연속성 | 1세션 사회 정대성 (민주주의사회연구소 부소장) |
13:00~13:40 | 40´ | (주제발표 1) 응답하는 도시 – 항쟁자의 능선은 어떻게 이어지는가 | 김상봉 (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) |
13:40~13:55 | 15´ | (토론) 전갑생(서울대 사회발전연구소 연구원) | |
13:55~14:25 | 30´ | (주제발표 2) '폭력'의 발전: 공수부대와 시민군 | 황병주 (역사문제연구소 상임연구원) |
14:25~14:40 | 15´ | (토론) 김정한(서강대 트랜스내셔널인문학연구소 교수) | |
14:40~14:50 | 10 | (휴식) | |
[제2세션] 부마민주항쟁 이후 부산민주화운동의 흐름과 정치적 선택 | 2세션 사회 이행봉 (부산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) |
14:50~15:20 | 30´ | (주제발표 1) 부산지역 노동운동의 쟁점 -유신 말기부터 IMF 위기 이전까지 | 이광수 (부산외국어대 인도학부 교수) |
15:20~15:35 | 15´ | (토론) 현정길 (금속노조 조합원) | |
15:35~16:05 | 30´ | (주제발표 2) 부마항쟁 이후 부산지역 여성운동의 흐름과 미래 과제 -진보 여성운동을 중심으로- | 이송희 (전 신라대학교 역사문화학과 교수) |
16:05~16:20 | 15´ | (토론) 김정화 (부산대학교 사학과 연구교수) | |
16:20~16:50 | 30´ | (주제발표 3) 부마민주항쟁 이후 부산시민의 정치적 선택과 지역정치의 변화: 지역주의의 영향을 중심으로 | 차재권 (부경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) |
16:50~17:05 | 15´ | (토론) 김홍수 (부산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) | |
| 17:05~17:15 | 10´ | 휴식 및 장내정리 | |
종합토론 | 17:15~17:45 | 30´ | 질의응답 및 종합토론 최원석(부산대학교 행정학과 강사) 및 지정 토론자 | 종합토론 좌장 윤영삼 (부경대학교 경영학부 교수) |
| 17:45~ | | 저녁식사 | |
10.30. (금) /창원 시청 시민홀 | 등록 | 13:40~14:00 | 20´ | 등 록 | |
[제3세션] 부마민주항쟁 이후 경남민주화운동의 흐름과 정치적 선택 | 3세션 사회 이윤기 (마산 YMCA 사무총장) |
주제 발표 및 토론 | 14:00~14:10 | | 2일 차 환영사 | |
14:10~14:40 | 30´ | (주제발표 1) 부마항쟁 이후의 마산·창원지역 노동운동 :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 | 주재석 (금속노조 경남지부 노조원) |
14:40~14:55 | 15´ | (토론) 김성대 (민주노총 경남본부 정책기획국장) | |
14:55~15:25 | 30´ | (주제발표 2) 경남지역 여성운동의 흐름과 미래과제 | 이경옥 (창원여성살림공동체 대표) |
15:25~15:40 | 15´ | (토론) 강인순 (경남대학교 사회학과 명예교수) | |
15:40~16:10 | 30´ | (주제발표 3) 부마항쟁 이후 경남 지역의 정치적 경제적 발전 경로에 대한 성찰: 기억과 계승, 그리고 그 결과 | 지주형 (경남대학교 사회학과 교수) |
16:10~16:25 | 15´ | (토론) 남종석 (경남연구원 연구위원) | |
16:25~16:35 | 10´ | 휴식 및 장내정리 | |
종합 토론 | 16:35~17:05 | 30´ | 질의응답 및 종합토론 김주완 (경남도민일보 이사), 지정 토론자 | 남재우 (창원대학교 사학과 교수) |
| 17:05~ | | 종료 | |